'건설업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업 트렌드] 뉴스테이 2030에게 새로운 보금자리가 될 것인가? (0) | 2016.12.06 |
---|---|
경기부양을 위한 수단 - 철도 (0) | 2016.12.01 |
건설경기는 호황이지만 건설사 M&A는 0 (0) | 2016.11.02 |
해외건설 경쟁력 부족이지만 발전가능성은 있다. (0) | 2016.10.14 |
삼성물산의 주택사업부 축소 (0) | 2016.09.01 |
[건설업 트렌드] 뉴스테이 2030에게 새로운 보금자리가 될 것인가? (0) | 2016.12.06 |
---|---|
경기부양을 위한 수단 - 철도 (0) | 2016.12.01 |
건설경기는 호황이지만 건설사 M&A는 0 (0) | 2016.11.02 |
해외건설 경쟁력 부족이지만 발전가능성은 있다. (0) | 2016.10.14 |
삼성물산의 주택사업부 축소 (0) | 2016.09.01 |
http://vip.mk.co.kr/news/view/21/20/1458056.html
불황의 길로 접어들고 있는 건설업계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뉴스테이입니다.
그 중 국내 주택건설의 강자 대우건설과 대림산업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선, 뉴스테이를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전세난으로 청년들의 주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입ㅎ
월 임대료를 정부에서 정하는 가이드라인 안에서 상승시킬 수 있고, 집주인이 바로 건설사가 되는 것 입니다.
기업이 월세를 내주는 거죠.
왜 이런게 도입되었냐면 건설사들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월세보다 전세가 주거부담은 적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고금리시대가 오긴 힘들기 때문에 전세자금대출을 받아서 적은 이자를 내면서 사는게 더 이익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젊은이에게 낮은금리로 전세금을 대출해주는 것이 주거문제를 해결 하는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계대출이 문제가 되고 있고 집값이 떨어지면서 깡통전세가 속출할 수 있기 때문에 월세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건설사 입장에선 20~30년간 안정적인 월세수입을 얻으면서 안정적인 회사운영이 가능해집니다.
그동안은 부지를 구입한 후 분양해서 팔면 큰 이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 패턴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기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으로 사업을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수익성이 보장되는 부지가 부족해지자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한 수요가 생겼고, 그것을 위해 정부에서 도움을 주는것으로 보입니다.
분명 뉴스테이는 하나의 주거문화를 바꿀 수 있지만 전세보다 주거비 부담이 더 큰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20년 거주 후 분양전환은 되지 않습니다.
이런것을 비춰볼때 뉴스테이가 언제까지 지속될진 장담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건설업 트렌드] 2008년 이후 건설업계 구조조정 (0) | 2016.12.06 |
---|---|
경기부양을 위한 수단 - 철도 (0) | 2016.12.01 |
건설경기는 호황이지만 건설사 M&A는 0 (0) | 2016.11.02 |
해외건설 경쟁력 부족이지만 발전가능성은 있다. (0) | 2016.10.14 |
삼성물산의 주택사업부 축소 (0) | 2016.09.01 |
http://biz.newdaily.co.kr/news/article.html/?mobile&no=10117363
건설경기는 호황입니다. 특히, 아파트가 경기를 이끌고 있기때문에 토목보단 건축이 메인인 건설사의 경기가 좋습니다.
하지만, 많은 M&A시장에 나와있는 건설사들의 실적은 0 입니다.
이것은 많은 기업이 건설업에 대해서 미래를 밝게 보지 않는다는 한가지 증거일 수 있습니다.
물론, 전체적인 경기가 좋지 않아 투자여력이 없을 수 있습니다. 금호그룹에서 대우건설을 인수했다가 승자의 저주에 걸린 예시도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건설업의 미래가 좋지 않은건 확실한 사실입니다.
GDP에서 건설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OECD 보다 높기 때문에 줄어들 확률이 높습니다.
기존의 시공중심의 건설업은 비전이 어두울 수 있지만, 새로운 분야 친환경 건축이나 유지관리 등 새로운 분야에 대한 전망은 다릅니다.
따라서, 건설업을 바라보는 시각을 기존의 시공중심보단 다양한 분야에 도전하는 건설사를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설업 트렌드] 뉴스테이 2030에게 새로운 보금자리가 될 것인가? (0) | 2016.12.06 |
---|---|
경기부양을 위한 수단 - 철도 (0) | 2016.12.01 |
해외건설 경쟁력 부족이지만 발전가능성은 있다. (0) | 2016.10.14 |
삼성물산의 주택사업부 축소 (0) | 2016.09.01 |
대림산업 사업구조. (0) | 2016.09.01 |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101320921
해외건설수주액이 전년대비 54% 감소했습니다.
그 원인으로 저유가로 인한 플랜트 발주 감소를 꼽지만, GCC국가의 플랜트 발주액은 15%만 감소했습니다.
따라서, 저유가보다는 경쟁력 부족으로 인한 수주액 감소를 꼽고 있습니다.
하지만, 잠시 현업에 있었던 제 생각에는
1. 저가수주회복을 위한 휴식
2. 수익성 좋은 국내 주택시장에 집중
3. 장기적 관점에 따른 인력구조조정으로 인한 수주액 감소
위 3가지 요인이 더 크다고 생각합니다.
적자가 큰 해외사업장보단 안정적인 사업구조로 내실을 기하면서 훗날을 도모하는 것이죠
하지만, 2018년엔 국내 주택물량도 줄어들테니 2018년을 기점으로 해외사업은 다시 증가해 나갈 것 같습니다.
경기부양을 위한 수단 - 철도 (0) | 2016.12.01 |
---|---|
건설경기는 호황이지만 건설사 M&A는 0 (0) | 2016.11.02 |
삼성물산의 주택사업부 축소 (0) | 2016.09.01 |
대림산업 사업구조. (0) | 2016.09.01 |
부동산 호황 건설사의 희비에 따른 투자전략. (0) | 2016.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