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여건변화 등을 고려할 , 경제성장률은 2018년중 2.9%, 2019년에는 2.8% 나타낼 것으로 전망 

 

    금년중 국내경제는 투자가 둔화되겠으나 수출이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소비도 개선흐름을 보이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양호한 소비심리 지속, 재정지출 확대 등에 힘입어 개선흐름을 이어갈 전망

 

     ▪ 설비투자는 지난해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 일부 업종의 투자 지연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 건설투자는 건물 착공면적 감소세, SOC 예산 감축 등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할 전망

 

     ▪ 상품수출은 세계교역 회복세 지속 등에 힘입어 양호한 증가세 이어가겠으며, 서비스수출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으로 개선될 전망

 

    2019년에도 수출  소비의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잠재수준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8년중 1.6%, 2019년에는 1.9% 나타낼 것으로 전망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금년 상반기중 1% 중반 수준을 보이다가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오름세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내 생각 : 선진국 대비 경제성장률이 너무 작다. 하지만 국제적으로 경기는 좋아지는 과정이므로 국내 내수의 부진으로 한국 경제의 급격한 축소는 없을듯 하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동력의 부재이므로 중진국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 있다. 그중에서도 주력산업인 반도체,선박,자동차,석유화학 중 반도체와 석유화학만 견조한 흐름이고 나머지는 어려운 환경이다. 반도체도 19년 이후로는 설비 확충에 의한 공급과잉으로 돌아설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반도체는 19년상반기까지 지켜보고 무역전쟁으로 저평가받고 있는 철강에 대해서 들여다 볼 때인것 같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