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약 |
□ 최근 국내외 여건변화 등을 고려할 때, 경제성장률은 2018년중 2.9%, 2019년에는 2.8%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ㅇ 금년중 국내경제는 투자가 둔화되겠으나 수출이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가고 소비도 개선흐름을 보이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지속할 전망
▪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양호한 소비심리 지속, 재정지출 확대 등에 힘입어 개선흐름을 이어갈 전망
▪ 설비투자는 지난해 급증에 따른 기저효과, 일부 업종의 투자 지연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전망
▪ 건설투자는 건물 착공면적 감소세, SOC 예산 감축 등의 영향으로 소폭 감소할 전망
▪ 상품수출은 세계교역 회복세 지속 등에 힘입어 양호한 증가세를 이어가겠으며, 서비스수출은 외국인 관광객 증가 등으로 개선될 전망
ㅇ 2019년에도 수출 및 소비의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잠재수준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
□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8년중 1.6%, 2019년에는 1.9%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
ㅇ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금년 상반기중 1%대 중반 수준을 보이다가 유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오름세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
내 생각 : 선진국 대비 경제성장률이 너무 작다. 하지만 국제적으로 경기는 좋아지는 과정이므로 국내 내수의 부진으로 한국 경제의 급격한 축소는 없을듯 하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성장동력의 부재이므로 중진국의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점이 있다. 그중에서도 주력산업인 반도체,선박,자동차,석유화학 중 반도체와 석유화학만 견조한 흐름이고 나머지는 어려운 환경이다. 반도체도 19년 이후로는 설비 확충에 의한 공급과잉으로 돌아설 위험이 있다. 따라서, 반도체는 19년상반기까지 지켜보고 무역전쟁으로 저평가받고 있는 철강에 대해서 들여다 볼 때인것 같다.
'경제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로벌 경제 상반기 요약 (0) | 2018.08.02 |
---|---|
2018.07.25 반도체 주 하락 원인 (0) | 2018.07.25 |
알리페이 한국상륙 - 한국정보통신 (0) | 2017.01.04 |
임종룡 경제부총리의 부동산 투기 철학 (0) | 2016.11.06 |
신산업 경제의 원동력 (0)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