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vip.mk.co.kr/news/view/21/20/1458056.html
불황의 길로 접어들고 있는 건설업계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가지고 있는 것이 뉴스테이입니다.
그 중 국내 주택건설의 강자 대우건설과 대림산업이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선, 뉴스테이를 도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전세난으로 청년들의 주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에서 추진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입ㅎ
월 임대료를 정부에서 정하는 가이드라인 안에서 상승시킬 수 있고, 집주인이 바로 건설사가 되는 것 입니다.
기업이 월세를 내주는 거죠.
왜 이런게 도입되었냐면 건설사들의 수익성 악화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월세보다 전세가 주거부담은 적습니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고금리시대가 오긴 힘들기 때문에 전세자금대출을 받아서 적은 이자를 내면서 사는게 더 이익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젊은이에게 낮은금리로 전세금을 대출해주는 것이 주거문제를 해결 하는데 유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계대출이 문제가 되고 있고 집값이 떨어지면서 깡통전세가 속출할 수 있기 때문에 월세로의 전환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건설사 입장에선 20~30년간 안정적인 월세수입을 얻으면서 안정적인 회사운영이 가능해집니다.
그동안은 부지를 구입한 후 분양해서 팔면 큰 이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런 패턴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기때문에 장기적인 안목으로 사업을 할 필요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수익성이 보장되는 부지가 부족해지자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기 위한 수요가 생겼고, 그것을 위해 정부에서 도움을 주는것으로 보입니다.
분명 뉴스테이는 하나의 주거문화를 바꿀 수 있지만 전세보다 주거비 부담이 더 큰것은 사실입니다.
또한, 20년 거주 후 분양전환은 되지 않습니다.
이런것을 비춰볼때 뉴스테이가 언제까지 지속될진 장담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건설업 INSIGH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업 트렌드] 2008년 이후 건설업계 구조조정 (0) | 2016.12.06 |
---|---|
경기부양을 위한 수단 - 철도 (0) | 2016.12.01 |
건설경기는 호황이지만 건설사 M&A는 0 (0) | 2016.11.02 |
해외건설 경쟁력 부족이지만 발전가능성은 있다. (0) | 2016.10.14 |
삼성물산의 주택사업부 축소 (0) | 2016.09.01 |